김포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꿈을 향한 한걸음 검정고시부터 대학진학까지

2024.06.24 13:12:07

 

(케이엠뉴스) (재)김포시청소년재단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에서는 관내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해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2023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결과 학교를 그만둘 당시 계획은 검정고시 준비 계획이 전체 응답자의 69.5%, 대학진학 준비가 29.6%를 자치했고, 특히 검정고시 준비 계획은 2021년 대비 11.2% 증가한 수치이다. 이에 따라 학교 밖 청소년이 학업 중단 의지보다는 학업 유지의 의지가 더 높음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김포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에서는 학교밖청소년의 학업유지를 위해 검정고시와 대학진학을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다.

 

검정고시 대비반 “희망교실” 운영(연중)

검정고시 대비반은 평일 10:00부터 13:00까지(3시간) 매일 한 과목씩 전문 강사가 고졸 검정고시 시험에 맞추어 학교밖청소년을 대상으로 수업이 진행된다.

수업은 월요일 국어, 화요일 과학, 수요일 영어, 목요일 사회ㆍ한국사, 금요일 수학 순으로 진행된다.

 

검정고시 대리접수(연 2회)

검정고시 대리접수는 검정고시 응시를 보다 쉽게 하기 위한 지원으로 연 2회 운영하고 있다,

2024년도 제2회 검정고시는 경기도 교육청을 통해 접수를 진행했고, 2024. 8. 8. 시험 당일에는 김포, 고양, 파주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가 함께 연합 고사장 아웃리치를 진행할 계획이다.

 

검정고시지원 학습멘토링(연중)

검정고시 학습멘토링은 부족한 과목을 학습자 맞춤형으로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1:1 또는 1:다수(2~3명)로 운영한다. 학습멘토링은 검정고시 과목 중 한 과목만 지원이 가능하며, 일주일에 2시간, 학교밖청소년(초․중․고)에게 지원하고 있다.

 

검정고시지원 모의고사 운영(연 2회)

검정고시 모의고사는 시험에 익숙하지 않은 학교밖청소년에게 검정고시 고사장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여 긴장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는 학교밖청소년이 검정고시에 적응하여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검정고시일 기준 1~2주 전에 중․고졸 대상으로 지원하고 있다.

 

검정고시 학습교재 지원(수시)

학습교재지원은 검정고시 및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준비하는 학교밖청소년의 경제적 부담을 낮추기 위해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1인당 20만원 상당의 교재를 지원하고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인터넷 강의 수강권 지원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준비하는 학교밖청소년 22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강의 수강권을 배부하여 온라인으로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

 

대학진학지원을 위한 대학입시설명회 개최

학교밖청소년은 대학진학을 위한 정보가 부족하다. 특히, 대학별 입시요망도학교밖청소년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여 대학 진학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김포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는 지난 5월 학교밖청소년 맞춤형 대학입시설명회를 운영했다.

대학 진학을 위한 자격조건 및 전형(학생부종합전형, 교과전형, 실기전형, 논술전형 등), 비교내신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했다.

 

대학진학 1:1 컨설팅 지원

대학입시설명회를 통해 대학 진학의 정보를 얻은 학교밖청소년은 자신에게 맞는 전형과 대학 선정을 위해 1:1 컨설팅을 받을 수 있다. 1:1 컨설팅의 최대 장점은 개인별 맞춤형으로 운영되는 것이며 원서접수 상담부터 진로 설정 상담 등 대학 진학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7월 ~ 8월 운영될 계획이다.

 

청소년생활기록부통한 학생부종합전형 지원가능

학교밖청소년은 학교를 다니는 청소년과 달리 생활기록부를 가지고 있지 않아 대학 진학 시, 학생부종합전형에 지원하기 어렵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청소년생활기록부이다. 청소년생활기록부는 학교밖청소년이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에서 활동한 내용을 기록한 증명서이다. 이를 통해 학교밖청소년도 학생부종합전형에 지원할 수 있게 됐다.

 

김포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에서는 학업에 대한 다양한 지원을 통해 학교밖청소년의 적극적인 학업복귀의 효과를 기대한다.

김영진 기자 dkkyj0120@hanmail.net
Copyright @2019 kmnews Corp.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화성로 273, 101호 등록번호:경기 아52320 | 등록일: 2019-09-06 | 발행인 : 김광섭 | 편집인 : 김영진 | 전화번호 : 031-374-0525 이메일:dkkyj9440@naver.com Copyright @2019 kmnew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