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1 (월)

  • 맑음동두천 3.4℃
  • 맑음강릉 8.0℃
  • 맑음서울 6.1℃
  • 맑음대전 7.5℃
  • 구름많음대구 5.6℃
  • 맑음울산 6.9℃
  • 맑음광주 5.9℃
  • 맑음부산 7.5℃
  • 맑음고창 6.8℃
  • 구름조금제주 9.6℃
  • 맑음강화 4.6℃
  • 맑음보은 3.4℃
  • 구름조금금산 3.8℃
  • 맑음강진군 4.9℃
  • 맑음경주시 4.5℃
  • 맑음거제 7.5℃
기상청 제공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인천사서원 소속 장애인 시설 시설간 협력 체계 구축 학대 피해 지원~지역사회 자립 연결

 

(케이엠뉴스)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인천시가 앞장선다.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은 소속 장애인 시설·사업단과 협력해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원스톱 지원 체계 구축에 나선다고 31일 밝혔다.

 

인천사서원은 다양한 분야의 장애인 시설을 운영하고 있어 장애인 발굴부터 자립까지 체계적인 지원이 가능하다.

 

장애인권익옹호기관과 피해장애인쉼터, 피해장애아동쉼터, 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 미추홀푸르내 등 5개 장애인 시설과 사업단을 수탁 운영 중이다.

 

권익옹호기관은 학대 피해 사례를 조사해 시설에 연계하는 역할을, 쉼터는 학대 피해 장애인 회복을 돕는다.

 

주거전환센터는 장애인 지원 주택, 자립 교육, 네트워크 사업으로 지역사회 자립을 지원하고 푸르내는 소규모 장애인 생활시설이다.

 

현재 푸르내에서 지내는 A(21) 씨는 학대 피해자다.

 

지난 2023년 권익옹호기관이 학대 피해 신고를 받아 조사 후 쉼터로 입소를 요청했다.

 

입소 당시 A씨는 다리에 근육이 없어 걷지 못했고 숟가락을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해 손으로 밥을 집어 먹는 상태였다.

 

옷을 갈아입는 것도 혼자 할 수 없었다.

 

1년 여 간 쉼터에서 지내며 병원 치료와 일상생활 훈련을 병행하며 회복해갔다.

 

지난해 초 쉼터 임시 보호기간이 끝났으나 원가정 복귀가 어려운 상황이었고 푸르내에 도움을 청했다.

 

다행히 푸르내에 입소한 A씨는 현재 새로운 삶을 살고 있다.

 

이후 자립을 원한다면 주거전환센터과 연계할 계획이다.

 

A씨와 같이 소속 시설 간 연계한 사례는 지난 2021년 7명, 2023년 15명이다.

 

인천사서원은 학대 피해 신고·접수 단계부터 정착 기반 조성과 자립 생활 전반을 지원하는 계획을 마련한다.

 

또 시설·사업단 간 분기별 회의를 열어 사례를 공유하고 관련 기관과 네트워크를 강화한다.

 

이와 함께 지역 내 장애인 기관, 단체, 시설 등과 협력 관계를 구축해 자립 가능한 장애인 발굴에도 적극 나선다.

 

자립을 원하는 장애인은 주거전환센터가 운영하는 장애인 지원 주택과 자립 교육 등을 활용한다.

 

현재 장애인 지원 주택은 모두 55호로, 장애인 36명이 이곳에서 독립생활을 하고 있다.

 

황흥구 인천시사회서비스원장은 “인천사서원은 다양한 장애인 시설과 사업단 수탁 운영을 맡아 다른 지역 사회서비스원과 차별화하고 있어 이를 적극 활용해 장애인 복지 개선에 힘을 보태려고 한다”며 “지역 내 다양한 장애인 단체, 기관과도 소통하며 우리의 역할을 해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기획

더보기

화성특례시, 도내 최초 딸기 우량묘 보급사업으로 딸기 농가 숙원 해소 나선다!!
화성특례시(시장 정명근)가 도내 최초로 관내 딸기 농가에 딸기 우량묘(苗)를 보급해 딸기 농가의 오랜 숙원 해소에 나선다고 28일 밝혔다. 화성시농업기술센터는 지난해 우수한 품질을 갖춘 설향 품종의 어미묘(딸기 묘를 계속 번식시키기 위해 부모 역할을 하는 묘) 19,700주를 생산했으며, 이 중 18,000주를 육묘를 희망하는 농가 8개소에 무상으로 보급할 계획이다. 올해 처음으로 시범 운영되는 이번 사업은 병해충에 강하고 생육이 우수한 우량묘를 지원해 관내 딸기 농가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기 위해 추진됐다. 그간 관내 딸기 농가는 노동력과 생산기술 부족으로 딸기 묘의 90% 이상을 타시군에서 구입하는 등 고품질 묘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또한, 이러한 딸기묘는 높은 가격과 바이러스 감염, 생육 불량 등의 문제로 생산성과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았다. 육묘 농가에 보급된 어미묘는 18만~20만 주의 자묘로 번식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관내 딸기 재배 농가 54곳에 필요한 딸기묘의 33%를 보급할 수 있는 양이다. 시는 앞으로도 우량묘 보급 및 농가 컨설팅을 강화해 보다 많은 농업인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