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기도, 취업지원과 교육확대 등 올해 자립준비청년 지원계획 마련

취업교육 수강료, 자격증 응시료 지원. 취업준비설명회도 개최

 

(케이엠뉴스) 경기도가 자립준비청년의 안정적인 자립준비를 지원하기 위해 올해 취업교육 수강료를 지원하고 찾아가는 특화 자립교육 대상을 가정위탁아동까지 확대한다.

경기도는 3일 이런 내용을 담은 올해 자립준비청년 지원 계획을 발표하고 자립준비청년들의 취업기회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자립준비청년은 아동양육시설 및 그룹홈, 가정위탁시설 등에서 지내다 만 18세가 돼 시설에서 나온뒤 독립해야 하는 청년들을 말한다.

도는 올해 자립준비청년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취업준비에 필요한 실비를 지원하는 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취업을 위한 각종 교육 수강료는 월 40만원 이내, 연간 최대 120만원까지 지원한다.

자격증 시험 응시료도 지원하는 데 연간 40만원 이내에서 가능하다.

이 밖에도 취업박람회나 기업탐방 등 취업관련 체험프로그램 참가비를 40만원 이내로 지원한다.

항목들은 중복 지원이 가능하며 올해 지원 대상은 300명이다.

또, 자립준비청년 100명을 초청해 진로 탐색이나 면접기술 등을 교육하는 취업교육, 컨설팅, 취업준비설명회 등을 연간 5회 개최할 예정이다.

보호종료 예정 아동들을 위해 추진하는 찾아가는 특화 자립교육 대상자를 올해는 가정위탁 아동까지 확대한다.

찾아가는 특화 자립교육은 15세 이상 아동에게 요리, 집 관리, 공공기관 활용, 감정 다루기 등 자립에 필요한 8대 영역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이다.

지난해 214명에서 올해는 지원 대상이 260명으로 늘어났다.

이 밖에도 도는 경기복지재단에서 운영하던 희망디딤돌 사업을 올해부터 ‘경기도자립지원전담기관 희망너울’이 직접 운영하도록 개편했다.

‘희망디딤돌’은 만 18세 이후 시설에서 퇴소해 또래보다 이른 나이에 홀로서기를 해야 하는 보호종료아동의 주거지원 공간으로 화성시 봉담읍과 고양시 일산동구에 마련됐다.

도는 자립준비청년의 주거지원과 보호종료 예정아동의 자립체험을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도에서 직접 운영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도는 자립준비청년의 생활기반 조성을 위해 자립정착금 534명, 자립 수당 1천852명, 자립지원통합서비스 515명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도는 다양한 자립지원청년과 경기도 청년지원 관련 45개 사업의 최신 정보를 담은 ‘2024년 자립준비청년 경기도 지원사업 목록’을 전자책으로 만들어 경기도와 경기도자립지원전담기관 희망너울 누리집에 게시했다.

도는 계속해서 시군, 유관기관 등 안내로 보호종료예정아동 및 자립준비청년의 정보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정보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기획

더보기
오산시 꿈두레도서관, '2025년도 1박 2일 독서캠프' 성료
(케이엠뉴스) 오산시는 꿈두레도서관에서 초등학생 가족과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으로 운영한 ‘2025년 1박 2일 독서캠프’가 성황리에 종료됐다고 밝혔다. 이번 독서캠프는 4월부터 9월까지 총 4회에 걸쳐 금요일 저녁부터 토요일 아침까지 도서관에서 하룻밤을 보내는 이색적인 체험 프로그램으로 참가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자들은 ▲봄나무 꾸미기 ▲가족 사용설명서 만들기 ▲그림자극 만들기 ▲바닷속 꾸미기 등 다양한 독서 연계 체험을 통해 통해 책과 자연스럽게 친해지는 시간을 가졌다. 가족과 친구가 함께 도서관에서 하룻밤을 보내며 독서의 즐거움은 물론, 협력과 소통의 가치를 경험하는 뜻깊은 시간이 됐다. 이번 캠프는 시민독서단체와 지역아동센터가 함께 기획·운영해 지역사회 교육공동체로서의 의미를 더했다. 도서관 관계자는 “아이들이 도서관을 친근한 공간으로 인식하고, 독서를 생활화하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계층이 함께할 수 있는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독서캠프는 취약계층 아동에게 이색적인 독서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가족 독서문화 확산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