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최호섭 의원, 서안성체육센터 야외 물놀이장서 !!

2025년 7월 6일(일) 오후 3시, 안성시의회 최호섭 운영위원장은 임시 개장 이틀째를 맞은 서안성체육센터 야외 물놀이장을 찾아 제35차 ‘찾아가는 민원신문고’를 운영하며 시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경청했다.

한여름 더위를 시원하게 식혀주는 서안성체육센터 야외 물놀이장이 임시 개장한 첫 주말, 시민과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가득한 현장에 민의(民意)를 귀담는 시의원이 함께했다.

 

이번 행사는 7월 5일(토)~6일(일) 임시 개장한 물놀이장 현장에서 진행되어, 무더위 속 가족 나들이에 나선 시민들, 특히 아이들과 함께한 부모들로부터 생활 밀착형 민원들이 다양하게 접수됐다.

 

첫 번째로 만난 민원인은 “공도에 이렇게 좋은 수영장을 운영해줘 감사하다”며 고마움을 전했다.

 

이어 안성맞춤랜드 수영장에서 음식물 반입이 금지되는 이유에 대해 궁금해했고, 서안성체육센터 화장실의 물이 나오지 않는 문제를 즉시 지적했다.

 

최호섭 의원은 현장 확인 후 즉각 조치 요청, 물 공급 문제를 바로 해결했다.

 

두 번째 민원인은 공도시외버스터미널 앞 승두천 도로에 신호등이 없어 출퇴근 시 극심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설치를 요구했고, 쌍용아파트 앞 산책로 수목 소독 필요성도 함께 제기했다.

 

세 번째 민원인은 “공도엔 맨발로 걸을 수 있는 황톳길이 없어 아쉽다”며, 대림동산공원이나 유적공원 내 황톳길 조성을 요청했다.

 

이외에도, 공도 우미린 인근 38번 국도변에는 차량 과속이 잦아 과속단속 카메라 설치 민원도 접수됐다.

 

최호섭 의원은 “무더위 속에도 현장을 찾은 시민들께서 생활의 불편과 제안들을 솔직히 말씀해주셔서 감사하다”며, “현장에서 답을 찾고, 작은 민원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서안성체육센터 야외 물놀이장은 본격 운영에 앞서 7월 5~6일 임시 개장을 거쳐, 7월 12일(토)부터 8월 17일(일)까지 매일 운영된다.

 

매주 토요일에는 야간 개장(오후 9시까지)도 예정되어 있다.

 

안성시민의 여름을 시원하게 만들어 줄 물놀이장, 그리고 시민의 민심을 시원하게 담아내는 ‘최호섭 시의원의 찾아가는 민원신문고’는 계속 이어진다.

 


기획

더보기

정명근 화성특례시장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과 복지 문제는 국격의 문제이자 인권의 문제"..."임금 체불, 근무 환경, 숙소 환경, 중개 수수료 과다 문제 중점 해결" 주문
(케이엠뉴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15일 동탄출장소 대회의실에서 ‘중대재해 산업안전 및 이주노동자 인권개선 대책 회의’를 열고 안전하고 공정한 노동 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정 시장은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복지는 대한민국의 국격의 문제이자 인권의 문제인 만큼, 임금체불 근절, 근무환경 및 숙소환경, 과다한 인력소개 수수료 근절 등 현장 실태를 중점적으로 살펴달라"며 “화성특례시가 외국인 복지 분야에서의 등대 도시가 될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정책 개선과 지원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가 많은 관내 기업 현황을 파악해 당일 불시 점검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실태조사 시 한국어가 서툰 외국인 근로자들이 쉽게 의사표현을 할 수 있도록 산업환경 개선 4대 과제와 괸련한 외국어로 된 설문지를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관련 부서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주노동자 권익 보호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과제를 공유했으며, 관내 외국인근로자 증가에 따른 인권 보호 대책이 논의됐다. 화성특례시는 현장중심 소통을 통한 이주노동자 정책 개선 및 맞춤형 지원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