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교육

'밀레니얼 학부모'가 열어가는 새 시대

야간자율학습이 폐지된 ‘이해찬 세대’, 학부모가 되다!

 

<주요내용>

○ 1980년대생 학부모는 학교에 거는 기대,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 일반적인 소통 방식이 기성세대와 차이가 있음. 더욱이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학교에 무조건 가지 않아도 된다는 인식의 변화가 나타남.

○ 학교가 ‘밀레니엄 학부모’와 바람직한 관계 속에서 본래의 역할을 수행하려면, 학부모를 ‘호명’하여 학교를 돕게 할 것이 아니라, 학교의 ‘주인’이자 교사의 ‘파트너’로서 학교에 참여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야 함.

 

□ 경기도교육연구원(원장 이수광)은 밀레니얼 세대 학부모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80년대생 초등학교 학부모의 특성」(연구책임 선임연구위원 김기수)을 발간하였다.

 

□ 연구결과에 따르면, 80년대 생 학부모들은 학교에 거는 기대나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 일반적 소통 방식이 기성세대의 학부모들과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특징은 학교의 역할이 인성지도를 하고 공동체 생활을 익혀주는 것이라고 보며 아이들의 창의력과 잠재력을 기르고, 숨어있는 재능을 찾아주기를 기대한다. 자녀의 교우관계를 중시하고, 학교폭력이나 집단따돌림에 연루될까봐 걱정한다. 학교에 무조건 가야한다고 강제하지도 않는다. 더욱이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이런 경향은 더 분명해졌다.

 

□ 경기도교육연구원(원장 이수광)은 밀레니얼 세대 학부모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80년대생 초등학교 학부모의 특성」(연구책임 선임연구위원 김기수)을 발간하였다.

 

□ 연구결과에 따르면, 80년대 생 학부모들은 학교에 거는 기대나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 일반적 소통 방식이 기성세대의 학부모들과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특징은 학교의 역할이 인성지도를 하고 공동체 생활을 익혀주는 것이라고 보며 아이들의 창의력과 잠재력을 기르고, 숨어있는 재능을 찾아주기를 기대한다. 자녀의 교우관계를 중시하고, 학교폭력이나 집단따돌림에 연루될까봐 걱정한다. 학교에 무조건 가야한다고 강제하지도 않는다. 더욱이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이런 경향은 더 분명해졌다.

□ 경기도교육연구원(원장 이수광)은 밀레니얼 세대 학부모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80년대생 초등학교 학부모의 특성」(연구책임 선임연구위원 김기수)을 발간하였다.

 

□ 연구결과에 따르면, 80년대 생 학부모들은 학교에 거는 기대나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 일반적 소통 방식이 기성세대의 학부모들과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특징은 학교의 역할이 인성지도를 하고 공동체 생활을 익혀주는 것이라고 보며 아이들의 창의력과 잠재력을 기르고, 숨어있는 재능을 찾아주기를 기대한다. 자녀의 교우관계를 중시하고, 학교폭력이나 집단따돌림에 연루될까봐 걱정한다. 학교에 무조건 가야한다고 강제하지도 않는다. 더욱이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이런 경향은 더 분명해졌다.

 

경기도교육연구원(원장 이수광)은 밀레니얼 세대 학부모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80년대생 초등학교 학부모의 특성(연구책임 선임연구위원 김기수)을 발간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80년대 생 학부모들은 학교에 거는 기대나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 일반적 소통 방식이 기성세대의 학부모들과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특징은 학교의 역할이 인성지도를 하고 공동체 생활을 익혀주는 것이라고 보며 아이들의 창의력과 잠재력을 기르고, 숨어있는 재능을 찾아주기를 기대한다. 자녀의 교우관계를 중시하고, 학교폭력이나 집단따돌림에 연루될까봐 걱정한다. 학교에 무조건 가야한다고 강제하지도 않는다. 더욱이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이런 경향은 더 분명해졌다.

 

□ 이 세대는 학부모의 이상적인 역할이 자녀에게 친구 같은 멘토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현실적으로는 자녀의 일과를 설계하고 자녀의 활동을 관리하는 매니저의 역할을 하고 있다.

 

□ 이전 세대의 학부모들이 자녀를 가르치는 대상으로만 바라보고 스승 같은 존재를 학부모의 이상적인 모습이라고 생각한 것과 대조적이다. 이 세대는 ‘이해찬 세대’라는 별칭이 생길 정도의 급격한 입시제도와 교육환경의 변화를 맞았으며, 아날로그와 디지털 세대의 교차점에서 과도기적 문화를 경험하고 부모로부터 이전 세대보다 많은 경제적, 정신적 지원을 받았다.

 

□ 초등학생들의 학부모가 되기 시작한 이들은 교사와 통화하는 것을 부담스럽게 여기지 않으며 맘카페나 소셜미디어 등을 통한 정보공유가 활발하다. 기성세대에 비해 아버지의 자녀교육 참여가 높아졌지만 여전히 어머니의 참여가 압도적이며 학교와의 직접적인 소통창구를 통한 참여율은 저조하다.

 

□ 위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연구책임자인 김기수 선임연구위원은 학부모 정책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의 필요에 따라 학부모를 불러내지 말고, 학부모가 주인의 자격으로 자기 학교에 나올 수 있게 해야 한다. ‘학부모가 주도하는’ 학교참여 문화를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사교육시장이 만들어 낸 진로진학 정보에 현혹되지 않도록 학교와 교육당국은 ‘검증된 교육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학교공동체에 활력이 붙을 수 있도록 학교가 가정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한방향’ 소통에서, 학교와 학부모가 서로 정보를 교류하는 ‘쌍방향 및 다방향’ 소통으로 전환해야 한다.

 

[1980년대생 초등학교 학부모의 특성] 연구 개요

 

□ 연구개요

▪ 주제어: 학부모, 밀레니얼 세대, 1980년대생, 학교참여

▪ 연구책임: 김기수 선임연구위원

▪ 연구기간: 2020. 4. ~ 6.

 

□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1980년대생 학부모의 특성을 파악하고 학부모가 주체적으로 학교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 연구내용

학부모의 학교 참여 패턴이 바뀌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지자체들이 학부모조례를 제정하여 학부모를 지원하고, 학교민주주의와 학교자치의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교육계가 세대 변화에 주목하는 이유를 밝혔다. 초등학교에 1980년대생 학부모가 등장하면서 세대 변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1980년대생 학부모의 교육에 대한 인식과 특성을 파악하고, 정책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과제를 제언하였다.

 

□ 연구방법

문헌분석과 인터넷 검색을 통해 1980년대생의 일반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한국에서 1980년대생이 겪은 성장기의 경험과 현재의 삶을 조명하였다.

경기도에 있는 두 학교의 1980년대생 학부모 7명과 면담하였다. 면담을 통해 이들의 학교에 대한 인식,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 교사 및 학부모 상호간 소통방식을 확인하였다.

 

□ 연구결과

갈등을 넘어 세대 공존으로: 1980년대생 학부모 의 비중과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부모는 대체로 30대 중후반이다. 이들은 기성와 다른 문화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다로 구성된 학교조직에서 세대 갈등 요인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공존과 학부모의 학교 참여를 위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년대생의 일반적인 특징: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생)는 이전 세대의 연장선이 아니라, 새로운 사고와 판단기준을 가지고 새로운 삶을 영위하는 세대다. 이들은 개인과 조직의 관계를 ‘거래적 계약’관계로 인식한다. 이들은 장기근속에 대한 기대가 없고, 즉각적인 보상을 요구한다. 이들은 디지털 문화를 가지고 있고 항상 온라인상에서 멀티테스킹을 한다.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고 자신의 관심사를 공유하기를 좋아한다.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지만 조직참여와 협력의 욕구도 높다.

년대생의 성장기: 1980년대에 태어나 부모가 된 여성들을 ‘밀레니얼 맘’이라 부른다. 이들은 대체로 고학력이고 부모의 절대적인 지원을 받으며 성장했다. 이들은 ‘알파 걸’을 지나 ‘슈퍼 맘’이 되었다. 1980년대생은 아날로그 세대에서 디지털 세대로 넘어가는 ‘아나털’세대다. 초등학교 때는 전통놀이를 했으나 중고등학교 때는 PC방에 가서 놀았다. 유명가수를 열정적으로 좋아해 아이돌 펜덤 문화를 만들어냈다. 야간자율학습이 폐지된 ‘이해찬 세대’로서 과도한 공부에서 탈출했고, 학생 인권 보호의 분위기 속에서 학교체벌도 크게 줄었다.

학교에 대한 인식: 1980년대생 학부모가 기대하는 학교의 역할은 자녀의 인성지도와 공동체 생활 익히기다. 이들은 학교가 자녀의 창의성을 길러주고, 숨어있는 재능과 잠재력을 찾아주기를 기대한다. 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한 걱정거리는 교우관계, 학교폭력, 집단따돌림이다. 학교폭력의 가해자가 되거나 피해자가 되는 걸 걱정한다. 학교 참여에 대해서는 관심은 높으나 참여는 낮은 편이다. 학교출석은 사정에 따라 안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학교 밖에서 체험활동을 할 수도 있고 대안학교에 보낼 수도 있다고 본다.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학교출석에 대한 의무감이 더 약화되었다.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 자녀교육에 대해 아버지의 관심과 참여가 많아졌다. 그러나 여전히 어머니의 몫이 컸다. 학부모로서 자녀교육을 위해 친절한 멘토 역할을 하고 싶어 한다. 실제로는 자녀의 일과를 설계하고 관리하는 매니저 또는 플래너 역할을 하고 있다. 공교육은 물론 사교육도 자녀의 공부 계획안에 깊이 들어와 있다.

소통 방식: 1980년대 학부모들은 교사와 전화통화를 하는 것이 부담스럽지 않다. 카톡, 문자, 어플을 통해서도 많은 소통을 한다. 학부모들 간에는 맘카페나 반(학급)모임을 통해 정보를 얻기도 하지만, 이런 공동체 성격의 모임에 대해 부담을 느낀다. 그래서 고학년 어머니들한테 직접 물어보는 걸 더 좋아한다.

 

□ 결론 및 제언

시사점: 학부모들이 학교의 필요에 의해 불려나오는 ‘호명된’학부모가 아니라 ‘주인된’ 학부모로 학교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학부모의 역할을 바꿔야 한다. 학부모가 사교육시장에서 생성된 ‘소문난 교육정보’에 휘둘리지 않도록 학교와 교육당국이 ‘검증된 교육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교사가 일방적으로 가정에 소식을 전하는 ‘한방향’ 소통에서, 교사와 학부모가 상호 소통하는 ‘쌍방향 내지 다방향’ 소통으로 전환해야 한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교육관이 다른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자녀들이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부모 양쪽의 교육관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동행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 학부모 관련 연구와 담론을 풍부하게 만들자. 학부모의 세대별 특성을 파악하자. 학교 밖 학습경험을 인정하고 학교학습과 연계하자. 학부모의 자율역량을 강화하자. 아버지 대상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자. ‘학부모 주도형’ 학교 참여를 확대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