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

부천시의회 김선화 의원, "공간은 남아돈다, 예술인은 갈 곳이 없다"

김선화 시의원, 제286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유휴공간 → 예술인 창작거점’ 전환 촉구

 

(케이엠뉴스) 부천시의회 김선화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제286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도심 곳곳의 유휴공간을 예술인 창작 거점으로 과감히 전환해 문화도시 부천의 경쟁력을 높이자”며 단계별 실행 로드맵을 제안했다. 김 의원은 “지금의 공실은 비용이지만, 창작공간으로 바꾸면 미래에 대한 투자”라며 즉각적인 전환을 주문했다.

 

부천시에서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만화창작스튜디오 24층 약 2,000㎡가 장기간 방치돼 있고, 교통정보센터도 오는 12월부터 약 1,300㎡가 공실로 전환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일부 공립어린이집과 복사골문화센터 내 공간이 활용되지 못한 채 관리비만 지출되는 상황이다. 반면 부천에는 등록 예술인만 3,816명에 달하며,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20·30대 청년 예술인이다. 상당수가 월세와 공간 부족으로 창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선화 의원은 부천 내부의 성공 사례도 언급했다. 시민회관 지하를 리모델링해 부천필하모닉 연습실과 전시공간으로 활용하고, 구 상동치안센터를 ‘사래이예술마당’으로 바꿔 시민 만족도 96%를 기록한 사례, 복사골문화센터 공간 개선으로 연간 6천 명 이상이 이용하는 성과가 대표적이다. “부천도 하면 된다”는 것이다.

 

이어 김 의원은 단계별 실행 로드맵을 제안했다. 단기적으로는 태안군 사례처럼 소규모 공실을 저비용으로 리모델링해 청년 예술인의 작업실로 전환하고, 중기적으로는 부산 동구처럼 시가 공간을 제공하고 문화재단이 운영을 맡는 협력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기적으로는 창동예술촌, 전주 팔복예술공장처럼 대형 유휴공간을 복합문화거점으로 조성해 도시재생과 관광 활성화까지 연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선화 의원은 “유휴공간을 비워두면 돈만 나가는 짐이 되지만, 예술인에게 내어주면 도시의 미래를 키우는 성장자산이 된다”며 “지금 당장 활용 가능한 공간부터 개방해 청년 예술인에게는 창작 기회를, 시민에게는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이번 질의는 지난 6월 정례회에서 김 의원이 공공시설 공실 문제와 불합리한 임대정책을 지적한 데 이어, 한층 구체화된 실행 방안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김 의원은 임대료 산정 기준과 입주조건 불일치 문제, 온라인 대관·홍보 플랫폼 도입 필요성을 지적했던 당시 발언을 상기시키며, “이제는 말이 아니라 실행”이라고 강조했다.


기획

더보기
오산시 꿈두레도서관, '2025년도 1박 2일 독서캠프' 성료
(케이엠뉴스) 오산시는 꿈두레도서관에서 초등학생 가족과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으로 운영한 ‘2025년 1박 2일 독서캠프’가 성황리에 종료됐다고 밝혔다. 이번 독서캠프는 4월부터 9월까지 총 4회에 걸쳐 금요일 저녁부터 토요일 아침까지 도서관에서 하룻밤을 보내는 이색적인 체험 프로그램으로 참가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자들은 ▲봄나무 꾸미기 ▲가족 사용설명서 만들기 ▲그림자극 만들기 ▲바닷속 꾸미기 등 다양한 독서 연계 체험을 통해 통해 책과 자연스럽게 친해지는 시간을 가졌다. 가족과 친구가 함께 도서관에서 하룻밤을 보내며 독서의 즐거움은 물론, 협력과 소통의 가치를 경험하는 뜻깊은 시간이 됐다. 이번 캠프는 시민독서단체와 지역아동센터가 함께 기획·운영해 지역사회 교육공동체로서의 의미를 더했다. 도서관 관계자는 “아이들이 도서관을 친근한 공간으로 인식하고, 독서를 생활화하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계층이 함께할 수 있는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독서캠프는 취약계층 아동에게 이색적인 독서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가족 독서문화 확산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