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8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이수영 오산문화재단 대표이사 “공연 문화의 선도적인 역할 수행”

(재)오산문화재단 이수영 대표이사는 취임과 동시에 시민들에게 양질의 공연을 제공하고, 동시에 전문기관 및 단체들과의 협업을 통해 완성도 높은 콘텐츠 제작과 공연 제공의 중심이 되겠다는 포부를 내비쳤다.

 

“공모사업 11개 공연선정으로 지원금 14억 4백만 원 국비 확보”

 

「2023 문예회관과 함께하는 방방곡곡 문화공감 사업-우수공연프로그램」선정!

‘열린음악회:국악신동 김태연&클라무오케스트라&퓨전국악 이희정밴드’, ‘코미디 연극 <도둑배우>’, ‘뮤지컬 허풍선이 과학쇼 장영실 VS 에디슨’, ‘허튼소리(Corea Beats)’ 등 완성도 높은 우수공연을 제공할 계획

 

「2023 문예회관과 함께하는 방방곡곡 문화공감 사업- 문예회관·예술단체 공연콘텐츠 공동제작·배급 프로그램」선정!

당진문화재단을 대표 기관으로 오산문화재단, 김포문화재단, 안성시문화예술사업소, 익산문화관광재단, 하남문화재단 6개 기관과 제작사 에이치제이키즈(주) 협업하여 뮤지컬 ‘조선 이야기꾼 전기수’ 공연 콘텐츠를 제작할 예정이다.

 

「2023 공연유통협력지원사업」선정!

문화체육관광부와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오산문화재단이 함께하여 공연예술 창·제작 협력 환경 조성과 유통 활성화를 추진. ‘뮤지컬 <파리넬리>’, ‘연극 <그때도 오늘>’공연기획을 계획 중이다.

 

「2023 전통공연예술 우수작품 재공연지원사업」선정!

전통예술의 지역 활성화를 위해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과 (재)오산문화재단은 공동주관으로 ‘LIVE 국악뮤지컬 <깨비 친구 삽살이>’라는 우수한 작품 추진 예정이다.

 

[2023 경기도 문예진흥 공모지원 사업] 중「공연장 상주단체육성 지원사업」선정!

오산문화재단과 상주단체 (유)브러쉬씨어터(어린이 콘텐츠 제작 단체)의 협업을 통해‘가족 뮤지컬<드래곤 하이>’,‘리틀 뮤지션’, ‘어린이 가족극 전우치전’을 계획 중이다.

 

이처럼 (재)오산문화재단은 공연문화 확산의 선도적인 역할과 지역 내 공연문화 발전 기반 조성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양질의 공연을 선보이기 위하여 기획공연 프로그램 강화에 힘쓰고 있다.

 

공연 예매 및 문의는 전화(031-379-9999) 또는 오산문화재단 홈페이지(https://www.osan.go.kr/arts), 인터파크 홈페이지(http://www.interpark.com)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오산문화재단 공연팀 031-379-9954로 문의 하면된다.


기획

더보기
오산시의회 전예슬 의원, “남촌오거리 교통대란 초읽기” 선 교통·후 입주 촉구!!
오산시의회 전예슬 의원(더불어민주당)은 27일 열린 제297회 오산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7분 자유발언을 통해 남촌오거리 일대의 교통대란 우려를 강하게 제기하며 선제적 대응을 촉구했다. 영상/전예슬 의원이 7분 자유발언을 하고있다.<영상/김영진 기자> 전 의원은 “세교2지구 입주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M1 주상복합 987세대(하루 3,714대), 청학지구 2,580세대(하루 약 7,000대), 현대테라타워(하루 약 8,000대) 등으로 남촌오거리 일대 통과 차량만 하루 약 1만 8천 대 증가가 예상된다”며 “이미 정체가 심각한 도로가 앞으로는 마비 수준에 이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경부선 철도 횡단도로 및 오산천 연결도로가 착공식 이후 문화재 조사와 토지보상 문제로 공정이 지연되고 있는 점을 언급하며 “행정은 추진 중이라고 말하지만 시민은 체감하지 못한다. ‘선 교통, 후 입주’ 원칙이 무너졌다”고 비판했다. 특히 2022년 지방선거 직전 승인된 M1 사업을 예로 들며 “대규모 인허가가 의회·시민과의 협의 없이 진행됐다”며 절차적 정당성 문제를 제기했다. 더불어 국비 30억 원을 확보하고도 공공기여 방식으로 전환되며 지연 중인 세교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