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

<속보>안성시의회, 양변휴게소 인근 국지도 23호선 교량 사면 유실 사고 현장 긴급 점검!!

김보라 안성시장은 오전 10시 21분경, 우천으로 인한 교량 하부 사면의 토사 유실로 발생한 사고 소식을 접했는지 모르나 16시 30분까지 현장에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밝혀져 충격이다.

안성시의회(의장 안정열)는 오늘 (9월 8일), 경기도 안성시 미양면 양변리 226-3번지 일원(양변휴게소 인근) 국지도 23호선 교량 하부에서 발생한 사면 유실 사고 현장을 점검하고, 관계 부서를 통해 신속한 복구 및 향후 재해 예방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사고는 9월 8일 오전 10시 21분경, 우천으로 인한 교량 하부 사면의 토사 유실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장을 방문한 안성시의회 의원들은 사고 현황을 점검하고, 사고로 인한 구조물 손상 및 주변 도로의 안전 상태를 직접 확인했다. 또한, 관계 공무원 및 지역 주민들과의 대화를 통해 현장의 고충을 청취하고, 단순한 복구를 넘어, 사고의 근본 원인을 분석하고 구조물 안정성 확보와 우, 배수 체계 개선 등 재발 방지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고 강조했다.

안정열 의장은 “예고 없는 사고 앞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민의 생명과 안전”이다. 라고 말하며, 안성시의회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다시 한번 재해 취약지역에 대한 전면 재점검에 나설 것이며, 응급 복구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안전 기반 마련을 위한 예산 확보와 제도 개선에도 적극 나서겠다. 고 밝혔다.

 

이날 안성시의회는 9월 2일부터 11일까지 제233회 임시회를 진행 중이다. 하지만 안정열 의장과 안성시의회 의원들은 회기 중 임에도 사고 소식을 접한 후 긴급 현장 점검에 나섰다. 안정열 의장과 안성시의회 의원들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현장 점검을 통해 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시민들의 안전 확보에 만전을 기할 것을 약속했다.

 

하지만 김보라 안성시장은 오전 10시 21분경, 우천으로 인한 교량 하부 사면의 토사 유실로 발생한 사고 소식을 접했는지 모르나 16시 30분까지 현장에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안성시 A 의원은 김보라 시장이 시민들의 안전에는 관심이 없는듯하여 아쉽다. 라고 말하며 만약 김보라 안성시장이 사고 소식을 몰랐다면 안성시 공직자들의 보고체계가 무너진 것 아니냐? 며 김보라 시장의 무능함을 지적했다.

 

이에 본 취재진이 안성시 소통 협치 담당관실 관계자(L 팀장)에게 사실 여부를 확인했으나 소통 협치 담당관실의 L 팀장도 사고 소식을 뒤늦게 전달받았고, 김보라 안성시장이 사고 소식을 전달받았는지?, 사고 현장을 다녀 왔는지?, 조차 모른다. 라고 말해 안성시 보고체계의 심각함에 본 취재진은 충격을 금치 못했다.

기자정보


기획

더보기
오산시 꿈두레도서관, '2025년도 1박 2일 독서캠프' 성료
(케이엠뉴스) 오산시는 꿈두레도서관에서 초등학생 가족과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으로 운영한 ‘2025년 1박 2일 독서캠프’가 성황리에 종료됐다고 밝혔다. 이번 독서캠프는 4월부터 9월까지 총 4회에 걸쳐 금요일 저녁부터 토요일 아침까지 도서관에서 하룻밤을 보내는 이색적인 체험 프로그램으로 참가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자들은 ▲봄나무 꾸미기 ▲가족 사용설명서 만들기 ▲그림자극 만들기 ▲바닷속 꾸미기 등 다양한 독서 연계 체험을 통해 통해 책과 자연스럽게 친해지는 시간을 가졌다. 가족과 친구가 함께 도서관에서 하룻밤을 보내며 독서의 즐거움은 물론, 협력과 소통의 가치를 경험하는 뜻깊은 시간이 됐다. 이번 캠프는 시민독서단체와 지역아동센터가 함께 기획·운영해 지역사회 교육공동체로서의 의미를 더했다. 도서관 관계자는 “아이들이 도서관을 친근한 공간으로 인식하고, 독서를 생활화하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계층이 함께할 수 있는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독서캠프는 취약계층 아동에게 이색적인 독서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가족 독서문화 확산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큰